하나의 문이 닫히면 또 하나의 문이 열린다. 그러니 더 이상 고민하지 말고 그냥 재미있게 살아라!
이 책은 30년 동안 정신분석 전문의로 일해 온 김혜남작가가 벌써 마흔이 된 당신에게 해 주고 싶은 말들을 담은 책이다. 그녀는 지금껏 살면서 한 가지 후회하는게 있다면 스스로를 너무 닦달하면서 인생을 숙제처럼 산 것이라고 말한다. 의사로, 엄마로, 며느리로, 딸로 살면서 늘 의무와 책임감에 치여 어떻게든 그 모든 역할을 잘해 내려 애썼고 그러다 보니 정작 누려야 할 삶의 즐거움들을 놓쳐 버렸다는 것이다. 그러다 22년 전 마흔 세 살에 파킨슨병 진단을 받으며 비로소 알게 되었다. 자신이 없으면 집안도 병원도 제대로 안 굴러갈 것 같았는데 세상은 너무나 멀쩡히 잘 굴러갔다. 그제야 그녀는 자신의 곁을 지켜 주는 사람들을 다시 보게 되었고, 놓쳐서는 안 될 인생의 소중한 것들이 무엇인지를 돌아보게 되었다. 그래서 벌써 마흔이 되어 버린, 후회 없는 인생을 살고 싶은 사람들에게 말해 주고 싶은 것도 딱 한가지이다. "하나의 문이 닫히면 또 하나의 문이 열린다. 그러니 더 이상 고민하지 말고 그냥 재미있게 살아라!" 이 책은 2015년 '오늘 내가 사는 게 재미있는 이유'라는 제목으로 출간, 독자들의 사랑을 받으며 10만 부 돌파 베스트셀러가 된 것을 기념해 펴낸 스페셜 에디션으로 저자가 30년간 정신분석 전문의로 일하며 깨달은 인생의 비밀과 22년 간 파킨슨병을 앓으면서도 유쾌하게 살 수 있는 이유를 전한다.
마흔 살에 알았더라면 더 좋았을 것들
정신분석 전문의로, 두 아이의 엄마로, 시부모님을 모시고 사는 며느리로 눈코 뜰 새 없이 바빴던 저자는 마흔 살까지만 해도 '내가 잘했으니까 지금의 내가 있는 거지'라고 생각했다. 집이고 병원이고 환자들이고 자신이 없으면 큰일이 난다고 생각한 것이다. 곁에 있는 사람들에게 고맙다고 말하면서도 속으로는 원망한 적이 더 많았다. (내 이야기 인줄..)
그런데 2001년 마흔세 살에 갑자기 몸이 점점 굳어 가는 파킨슨병 진단을 받게 되었다. 두 아이의 엄마이자 정신분석 전문의로 할 일이 많은 나이였다. 게다가 꿈을 펼쳐 보겠다고 개인 병원을 시작한 지 1년이 채 되지 않은 시점이었다. 그녀는 자신에게 들이닥친 불행을 도저히 받아들일 수 없었다. 너무 억울하고, 사람들이 밉고, 세상이 원망스러워 아무것도 못 한 채 한 달 동안 침대에 누워 천장만 바라보았다. 그러던 어느 날 그녀는 문득 깨달았다. 아직 자신은 죽은 게 아니며 누워 있는다고 바뀌는 건 아무것도 없다는 사실을 말이다. 다행히 병이 초기 단계라 아직 할 수 있는 일들도 많았다. 그래서 일어났고, 하루를 살았고, 또 다음 날을 살았다. 대신에 해야만 하는 일보다 하고 싶지만 계속 미뤄 둔 일들을 먼저 하기 시작했다.
책을 쓰고, 병마와 싸우며 진료와 강의를 하고, 두 아이를 키우고, 열 권의 책을 썼다. 사람들은 파킨슨병을 앓으면서 어떻게 그 일들을 다 할 수 있었느냐고 신기해하지만 그녀는 말한다. 몸이 굳어 옆으로 돌아눕는 것조차 남의 도움을 받아야 할 만큼 고통스러운 때도 있지만 고통과 고통 사이에는 덜 아픈 시간이 있고, 그 시간에 할 수 있는 일들을 하며 하루하루를 차곡차곡 살아온 것 뿐이라고. 2014년 1월 병이 악화되어 병원 문을 닫고 나서는 더 이상 환자들을 진료할 수 없게 되었지만 그녀는 여전히 하고 싶은 일들이 많다고 말한다.
만일 내가 인생을 다시 산다면
정신분석가인 융은 "마흔이 되면 마음에 지진이 일어난다"고 했다. 삶 전제가 흔들리는 듯한 혼란을 겪는 것이다. 그도 그럴 것이 평균 수명이 길어지다 보니 100세를 놓고 보면 마흔 살이 되어도 아직 살아야 할 날들이 60년이나 남아 있다. 그러니까 뭘 새로 시작하려니 늦은 것 같고, 그렇다고 안 하려니 시간이 너무 많이 남아 있는 것 같은 나이, 그것이 바로 마흔인 것이다. 게다가 자신은 예나 지금이나 똑같은데, 마음속에는 젊은 시절의 열정이 그대로 살아 있고 앞으로도 많은 일들을 할 수 있을 것 같은데 몸의 신호가 자꾸만 아니라는 애기를 건넨다.
나는 지금 마흔을 향해가는 나이인데 너무 공감가는 이야기였으며 그래서 더욱더 저자의 책을 읽으며 저자가 독자에게 전달해주고 싶었던 메시지들이 마음에 많이 와닿았다. 지금 30대 후반의 나는 늘 지치고 위태롭고 내가 제대로 살고있는건지 불안함의 반복들이었는데. 저자는 잘하고있다고 위로해주는 것만 같았다. 그러면서 하나의 문이 닫히면 다른문이 열리니 그냥 재미있게 살으라고 말한다. 이 메시지를 마음속에 꼭 간직하고서 하루하루를 재미있게 살아보려고 한다.
바쁜 인생을 달리며 지친 독자들에게 위로가 되어주는 책이었다.
'책리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나를 살리는 논어 한마디, 공자의 지혜를 훔쳐보다. (0) | 2023.05.25 |
---|---|
고도원의 '사랑합니다 감사합니다' 따듯한 사진과 글. (0) | 2023.05.24 |
하루 클래식 공부, 내마음의 휴식시간 (0) | 2022.11.25 |
모든 일에는 때가 있다, 당신을 위한 영적 메시지 (0) | 2022.11.22 |
순례주택, 따듯한 이웃들의 이야기 (0) | 2022.11.21 |